아날로그 텔레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라디오 방송과 함께 아날로그 방송의 한 종류로, NTSC, PAL, SECAM 방식과 같은 여러 시스템을 사용한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 말에 개발되었으며, 1990년대 말부터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이 진행되면서 점차 쇠퇴했다. 각 시스템은 주사선 수, 프레임 속도, 채널 너비, 비디오 대역폭, 비디오-오디오 분리 등을 결정하며, 흑백 신호에 색도 정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하위 호환성을 확보했다.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튜너, IF 증폭기, 영상 증폭기 및 출력 증폭기, 동기화 회로 등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표시하며,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텔레비전의 역사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 텔레비전의 역사 - 흑백 텔레비전
흑백 텔레비전은 1920년대 후반에 개발되어 컬러 텔레비전 등장 이전까지 주요 방송 매체였으며, 휘도 신호만을 사용하여 영상을 단색으로 표현하는 초기 텔레비전 방식으로 역사적 자료이자 기술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 텔레비전 용어 - 페이퍼뷰
페이퍼뷰는 케이블 TV, 위성방송, IPTV 등에서 특정 콘텐츠 시청 횟수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며, 스포츠, 영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1972년 케이블 TV 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재와 같은 형태가 시작되었다. - 텔레비전 용어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 텔레비전 기술 - 크롬캐스트
구글이 개발한 크롬캐스트는 동글형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제품군으로, 모바일 기기나 PC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TV나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며, 구글 캐스트 기술 지원 앱이나 크롬 브라우저 미러링으로 제어 가능하고, 다양한 모델 출시와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성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대중화에 기여했다. - 텔레비전 기술 - 수직 귀선 기간
수직 귀선 기간은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아날로그 방식과 달리 수직 동기화 간격 동안 부가 정보를 전송하지 못해 폐쇄 자막 표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의 상호 운용성 개선을 위한 부가 정보 전송 방식 표준화 및 개선이 필요하다.
아날로그 텔레비전 | |
---|---|
지도 | |
유형 | |
종류 |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
신호 유형 | 아날로그 신호 |
기술적 세부 사항 | |
영상 신호 | AM |
음성 신호 | FM |
동기 신호 | 동기 펄스 |
규격 및 표준 | |
주요 표준 | NTSC PAL SECAM |
영상 표준 | 480i (525 line) 또는 576i (625 line) |
기타 | |
관련 기술 | 전파, 텔레비전 방송, 아날로그 방송 |
대체 기술 | 디지털 텔레비전 |
역사적 의미 | 텔레비전 방송의 초기 형태 |
특징 | 신호 간섭에 취약 전송 거리에 따른 화질 저하 대역폭 제약 |
2. 아날로그 방송의 종류
아날로그 방송은 크게 라디오 방송과 텔레비전 방송으로 나뉜다.
라디오 방송에는 AM 방송과 FM 방송이 있다. AM 방송은 진폭 변조를 사용하며 주로 중파 대역에서 사용된다. FM 방송은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며 초단파 대역에서 사용된다.
텔레비전 방송에는 NTSC, PAL, SECAM 방식이 있다. NTSC는 미국에서 개발되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대부분, 일본, 대한민국 등에서 사용되었다. PAL은 서독(당시)에서 개발되어 서유럽, 남아시아, 아세안 국가 대부분,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사용되었다. SECAM은 프랑스에서 개발되어 구 프랑스 식민지와 일부 동유럽, 소비에트 연방 등에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방식은 1950년대부터 1960년대 말에 개발되었으며, 1990년대 말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점차 쇠퇴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11년 7월 24일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 3현을 제외한 44개 도도부현에서[26], 2012년 3월 31일에는 나머지 3현에서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었다.[27]
2. 1. 라디오 방송
AM 방송과 FM 방송은 대표적인 라디오 방송 방식이다. AM 방송은 진폭 변조를, FM 방송은 주파수 변조를 사용한다. AM 방송은 주로 중파 대역에서, FM 방송은 초단파 대역에서 사용된다.2. 1. 1. AM 방송
진폭 변조(AM)를 사용하는 방송 방식이다. 주로 중파 대역에서 사용되며, 주파수 대역은 10kHz이다. 일본, 한국, 중국에서는 9kHz로, 주파수 대역을 적게 사용할 수 있다.[1]2. 1. 2. FM 방송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는 방송 방식이다. 초단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방송 방식이다. 주파수 대역은 100kHz(0.1MHz)이다.2. 2. 텔레비전 방송
현재 사용되는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에는 NTSC, PAL, SECAM이 있다. 이 방식들은 1950년대부터 1960년대 말에 개발되었으며, 1990년대 말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점차 쇠퇴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11년 7월 24일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 3현을 제외한 44개 도도부현에서[26], 2012년 3월 31일에는 나머지 3현에서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어 디지털 방송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27]2. 2. 1. NTSC
NTSC는 미국에서 개발된 방송 방식이다.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대부분, 동남아시아 일부, 일본, 대한민국, 타이완에서 채택되었다.[26]2. 2. 2. PAL
PAL은 서독(당시)에서 개발된 방송 방식이다. 서독(당시)을 중심으로 영국 등 서유럽, 남아시아 여러 국가, 아세안 국가의 대부분, 중동의 대부분, 아프리카 일부,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등 가장 많은 국가에서 채택되었다.[26]2. 2. 3. SECAM
프랑스에서 개발된 방식이다. 그 외에는 구 프랑스 식민지의 대부분과 일부 동유럽(불가리아, 헝가리), 소비에트 연방 등에서도 채택되었다.[26]3.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기술적 특징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표시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브라운관(CRT)을 이용하여 래스터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표시한다. 전자 빔이 화면의 각 점을 통과할 때 빔의 강도를 조절하여 밝기(휘도)를 표현하고, 컬러 텔레비전의 경우 색도 신호를 추가하여 색상을 제어한다.[1]
초기에는 비디오 신호 저장 기술이 없어 카메라와 텔레비전의 래스터 스캔 동기화가 중요했다.[1] 피 현상을 이용해 부드러운 움직임을 표현하고, 인광 코팅으로 깜빡임을 줄였지만, 빠른 움직임에는 번짐이 발생했다.[1] 프레임 속도와 인터레이싱 방식은 깜빡임과 전송 결함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1]
NTSC와 PAL은 직교 진폭 변조로 U, V 신호를 전송하며, 각각 3.58 MHz와 4.43 MHz의 부반송파를 사용한다. 흑백 장면에서는 색상 신호가 사라진다. 색 버스트는 수신기의 위상 기준을 제공한다.[1] NTSC는 위상 오류로 색 재현 문제가 있었지만, PAL D(지연) 시스템은 이를 보정한다.
수신기에서 부반송파 재생성을 위해 색 버스트가 사용되며, 위상 고정 루프로 고정되어 위상 기준을 달성한다. 영상 신호 동기 펄스는 수신기의 스위프 발진기를 전송 신호와 동기화한다.[29][30][31] 동기 분리기는 펄스를 수평 및 수직 동기로 분류한다.[8][9][10]
3. 1. 개발 역사
초기 아날로그 텔레비전 시스템은 회전하는 원판에 구멍을 뚫어 이미지를 스캔하는 기계식 텔레비전 시스템이었다. 수신기에서도 비슷한 원판이 이미지를 재구성했다. 수신기 원판의 회전 동기화는 이미지 정보와 함께 방송되는 동기 펄스를 통해 처리되었다. 카메라 시스템은 비슷한 회전 원판을 사용했으며, 광 검출기가 작동하려면 피사체에 매우 강한 조명이 필요했다. 이러한 기계식 시스템에서 재현된 이미지는 어둡고, 해상도가 매우 낮았으며 심하게 깜빡였다.브라운관(CRT)이 개발되기 전까지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본격적인 산업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 브라운관은 집중된 전자빔을 사용하여 형광체로 코팅된 표면에 선을 그린다. 전자빔은 기계식 원판 시스템보다 훨씬 빠르게 화면을 가로질러 스캔할 수 있으므로, 더 좁게 간격을 둔 스캔 라인과 훨씬 높은 이미지 해상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기계식 회전 원판 시스템에 비해 전자식 시스템은 유지 관리가 훨씬 적게 필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자식 시스템이 가정에서 인기를 얻게 되었다.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색 부반송파를 간단한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여 U와 V 신호를 번갈아 전송한다.
1956년부터 일부 아날로그 컬러 브라운관 디스플레이에서는 밝기 제어 신호(휘도)가 전자총의 음극에 공급되고, 색차 신호(색도 신호)는 제어 그리드에 공급되었다. 이러한 간단한 브라운관 매트릭스 혼합 기술은 후에 반도체 신호 처리 설계에서 1954년과 1955년 컬러 TV 수상기에서 사용된 원래의 매트릭싱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3. 2. 방송 표준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사들은 서로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여 신호를 인코딩한다. 1961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공식적으로 정의한 전송 시스템은 A, B, C, D, E, F, G, H, I, K, K1, L, M, N이다.[2] 이러한 시스템은 주사선 수, 프레임 속도, 채널 너비, 비디오 대역폭, 비디오-오디오 분리 등을 결정한다. 기본 단색 신호에 색상 인코딩 방식(NTSC, PAL, 또는 SECAM)을 추가할 수 있다.[3]1950년대에 여전히 존재하던 단색 조합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의해 A부터 N까지의 대문자로 표준화되었다. 컬러 텔레비전이 도입되면서 흑백 텔레비전은 무시하는 방식으로 단색 신호에 색도 정보가 추가되어 하위 호환성이 달성되었다.
추가 색상 정보를 인코딩하고 전송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 표준이 있다. 첫 번째는 미국의 NTSC 시스템이었다.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의 PAL과 프랑스와 구 소련의 SECAM 표준은 나중에 개발되었으며 NTSC 시스템의 특정 결함을 해결하려고 시도했다. PAL의 색상 인코딩은 NTSC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SECAM은 PAL이나 NTSC와는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원칙적으로 세 가지 색상 인코딩 시스템 모두 주사선/프레임 속도 조합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신호를 완전히 설명하려면 색상 시스템과 대문자로 된 방송 표준을 모두 언급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 캐나다, 멕시코, 대한민국은 NTSC-M을 사용했거나 사용하고 있고, 일본은 NTSC-J를 사용했으며, 영국은 PAL-I를, 프랑스는 SECAM-L을 사용했다. 서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의 많은 지역은 PAL-B/G를 사용했거나 사용하고 있으며, 동유럽의 대부분은 SECAM-D/K 또는 PAL-D/K를 사용한다.
모든 가능한 조합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NTSC는 시스템 M과 함께만 사용된다. PAL은 다양한 625선 표준(B, G, D, K, I, N)과 북미 525선 표준과 함께 사용되며, 이에 따라 PAL-M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SECAM은 다양한 625선 표준과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은 디지털 신호를 언급할 때도 625/25형 신호를 'PAL'이라고 하고 525/30 신호를 'NTSC'라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송 텔레비전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지만 동일한 작동 원리가 적용된다.[5] 각국의 텔레비전 시스템은 UHF 또는 VHF 주파수 대역 내의 여러 텔레비전 채널 수를 지정한다.
3. 3. 신호 표시
브라운관(CRT) 텔레비전은 전자 빔을 래스터이라고 알려진 수평선 패턴으로 화면 전체에 주사하여 이미지를 표시한다. 각 줄의 끝에서 빔은 다음 줄의 시작 부분으로 돌아가고, 마지막 줄의 끝에서 빔은 화면 상단의 첫 번째 줄 시작 부분으로 돌아간다. 빔이 각 점을 통과할 때 빔의 강도가 변하여 해당 점의 휘도가 변한다. 컬러 텔레비전 시스템은 유사하지만 함께 주사하는 세 개의 빔이 있고 색도라고 알려진 추가 신호가 점의 색상을 제어한다.[1]아날로그 텔레비전 개발 당시에는 비디오 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저렴한 기술이 없었다. 휘도 신호는 CRT에 표시되는 동시에 생성되고 전송되어야 했다. 따라서 카메라(또는 신호를 생성하는 다른 장치)의 래스터 스캔을 텔레비전의 스캔과 정확하게 동기화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1]
CRT의 물리적 특성상 점이 다음 줄의 시작 부분("수평 재추적") 또는 화면의 시작 부분("수직 재추적")으로 이동하는 데 유한한 시간 간격이 필요하며, 휘도 신호의 타이밍은 이를 고려해야 한다.[1]
인간의 눈에는 피 현상이라는 특징이 있는데, 연속적인 스캔 이미지를 빠르게 표시하면 부드러운 움직임의 착각을 일으킨다. 이미지의 깜빡임은 CRT에 장시간 지속되는 인광 코팅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속적인 이미지가 천천히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느린 인광은 화면 상에서 빠른 움직임이 발생할 때 이미지 번짐과 흐릿함을 유발하는 부정적인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1]
최대 프레임 속도는 전자 장치 및 전송 시스템의 대역폭과 이미지의 수평 스캔 라인 수에 따라 달라진다. 25 또는 30 헤르츠의 프레임 속도는 만족스러운 절충안이며, 인터레이싱 과정을 사용하여 그림의 두 비디오 필드를 프레임당 하나씩 구성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과정은 초당 비디오 프레임의 수를 두 배로 늘리고 깜빡임 및 전송의 다른 결함을 더욱 줄인다.[1]
NTSC와 PAL 방식에서는 부반송파의 직교 진폭 변조를 이용하여 U와 V 신호를 전송한다. 이 방식은 두 개의 독립적인 신호를 하나의 부반송파에 적용하여 수신단에서 두 신호를 독립적으로 복구하는 방식이다. NTSC의 경우 부반송파는 3.58 MHz이며, PAL 방식에서는 4.43 MHz이다. 부반송파 자체는 변조된 신호에 포함되지 않고(억압된 반송파), U와 V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부반송파 측대역이다. 억압된 반송파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이유는 송신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서이다. 이 응용에서 더 중요한 장점은 흑백 장면에서는 색상 신호가 완전히 사라진다는 것이다. 부반송파는 주 명도 신호의 대역폭 내에 있으므로 그림에 원치 않는 인공물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흑백 수신기에서 더욱 두드러진다.[1]
화면에 보이지 않는 수평 꺼짐 부분에는 부반송파의 작은 샘플인 색 버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수신기가 변조된 신호에 대한 위상 기준을 제공하는 데 필요하다. 직교 진폭 변조에서 변조된 색도 신호는 부반송파와 비교하여 위상이 변하고 진폭도 변한다. (Y 신호와 함께 고려할 때) 색도 진폭은 색의 대략적인 채도를 나타내고 부반송파 기준에 대한 색도 위상은 색의 색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다. 테스트 컬러 바 패턴에서 발견되는 특정 테스트 색상의 경우, 테스트 및 문제 해결 목적으로만 정확한 진폭과 위상이 정의될 때가 있다.[1]
색도 신호를 생성한 직교 진폭 변조 프로세스의 특성으로 인해 특정 시간에 신호는 U 신호만 나타내고 70나노초(NTSC) 후에는 V 신호만 나타낸다. 약 70나노초 후에는 -U, 그리고 다시 70나노초 후에는 -V가 나타난다. 따라서 U를 추출하기 위해 동기 검파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부반송파를 사용하여 280나노초마다 크로마를 간략하게 게이팅하여 출력이 각각의 진폭이 해당 시간에 원래 U 신호와 같은 일련의 불연속 펄스만 되도록 한다. 사실상 이러한 펄스는 U 신호의 불연속 시간 아날로그 샘플이다. 그런 다음 펄스는 저역 통과 필터링되어 원래 아날로그 연속 시간 U 신호가 복구된다. V의 경우 90도 이동된 부반송파가 280나노초마다 크로마 신호를 간략하게 게이팅하며, 나머지 프로세스는 U 신호에 사용된 프로세스와 동일하다.[1]
NTSC는 이 프로세스를 수정하지 않고 사용한다. 그러나 이로 인해 종종 멀티패스로 인해 발생하지만 대부분 스튜디오 측의 구현이 좋지 않아 수신 신호의 위상 오류로 인해 색상 재현이 좋지 않은 결과가 발생한다. 솔리드 스테이트 수신기, 케이블 TV 및 무선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을 위한 디지털 스튜디오 장비의 출현으로 이러한 NTSC 문제는 크게 해결되었다.[1]
3. 4. 신호 수신
NTSC와 PAL 방식은 부반송파의 직교 진폭 변조를 이용하여 U와 V 신호를 전송한다. NTSC의 부반송파는 3.58 MHz, PAL 방식은 4.43 MHz이다. 부반송파 자체는 변조된 신호에 포함되지 않으며(억압된 반송파), U와 V 정보는 부반송파 측대역이 전달한다. 흑백 장면에서는 색상 신호가 완전히 사라진다.
화면에 보이지 않는 수평 꺼짐 부분에는 색 버스트라는 부반송파의 작은 샘플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수신기가 변조된 신호에 대한 위상 기준을 제공하는데 필요하다. 직교 진폭 변조에서 변조된 색도 신호는 부반송파와 비교하여 위상과 진폭이 변한다.
수신기는 부반송파를 재구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스캔 라인의 백 포치(재추적 블랭킹 기간) 동안 색 버스트라는 짧은 부반송파 버스트가 전송된다. 수신기 부반송파 발진기는 이 신호에 위상 고정 루프로 고정되어 위상 기준을 달성, 재구성된 부반송파를 생성한다.
NTSC는 이 프로세스를 수정 없이 사용한다. 이 때문에 수신 신호 위상 오류로 색상 재현이 좋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PAL D(지연) 시스템은 각 연속 라인의 신호 위상을 반전하고 라인 쌍 결과를 평균화하여 이러한 오류를 대부분 수정한다.
3. 5. 동기화
영상 신호에 동기 펄스를 모든 주사선과 비디오 프레임 끝에 추가함으로써 수신기의 스위프 발진기가 전송된 신호에 그대로 남아있게 하여 영상이 수신기 화면에서 재구성될 수 있게 한다.[29][30][31]주사선을 분리시키는 수평 동기화(HSync) 신호는 단순한 짧은 펄스로, 모든 주사선의 시작점을 지시한다. 수직 동기화(VSync)는 비디오 필드를 분리시킨다. PAL과 NTSC에서 수직 동기 펄스는 수직 귀선 기간 내에서 발생하며, 수평 동기 펄스의 길이를 거의 모든 길이의 주사선에서 연장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동기 펄스는 수신기의 수평 주사 발진기가 송신 신호와 동기화를 유지하여 수신기 화면에 이미지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동기 분리기' 회로는 동기 전압 레벨을 감지하고 펄스를 수평 및 수직 동기로 분류한다.[8][9][10]
4. 전 세계 각국의 아날로그 방송 중단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은 전 세계적인 추세이며, 많은 국가에서 아날로그 방송을 중단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였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으로 전면 전환을 최초로 실시한 국가는 2006년 룩셈부르크였으며, 네덜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15] 일본에서는 2010년 7월 24일 북동부 이시카와현에서 디지털 전환이 시작되어 2011년 7월 24일 전국 47개 현 중 43개 현에서 종료되었지만, 후쿠시마현, 이와테현, 미야기현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및 관련 원전 사고로 인해 2012년 3월 31일로 연기되었다.[17] 캐나다에서는 2011년 8월 31일 대부분 대도시에서 아날로그 방송이 중단되었다.[18]
중국은 2015년에서 2021년 사이에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할 예정이었다.[19] 브라질은 2007년 12월 2일 상파울루에서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전환했으며, 2017년에는 2023년에 전국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할 것으로 추산되었다.[20]
말레이시아는 2019년 11월 1일부터 아날로그 방송이 중단되었다.[21] 싱가포르는 DVB-T2 방식의 디지털 텔레비전을 2013년 12월 16일에 시작하여, 2019년 1월 2일에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하였다.[22]
필리핀은 당초 2015년 12월 31일까지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할 예정이었으나, 여러 차례 연기되어 2023년 2월에는 2025년으로 전환을 연기했다.[23]
러시아 연방은 2018년 12월 3일 트베리주를 시작으로 5단계에 걸쳐 아날로그 방송을 중단하여 2019년 10월 14일에 완료하였다. 전환 기간 동안 장애인,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특정 퇴직자 및 1인당 소득이 최저 생계비 미만인 가구에 디지털 TV 수신기 구매를 위한 지원이 제공되었다.[24][25]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컬러 방송 방식은 다음과 같다.
- NTSC - 미국에서 개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대부분, 동남아시아 일부, 일본, 대한민국, 타이완에서 채택.
- PAL - 서독(당시)에서 개발. 서독(당시)을 중심으로 영국 등 서유럽, 남아시아 여러 국가, 아세안 국가 대부분, 중동 대부분, 아프리카 일부,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채택.
- SECAM - 프랑스에서 개발. 구 프랑스 식민지 대부분과 일부 동유럽(불가리아, 헝가리), 소비에트 연방 등에서 채택.
이 기술들은 1950년대부터 1960년대 말에 개발되었으며, 1990년대 말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점차 쇠퇴하고 있다.
4. 1. 북아메리카
미국은 2005년 7월부터 모든 텔레비전에 디지털 튜너 내장을 의무화했으며, 2009년 6월 12일에 아날로그 방송을 중단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4. 2. 유럽
영국의 경우 2008년부터 아날로그 방송이 중단되기 시작하여 2012년에 완료되었다.[12] BBC 방송국은 시청자들이 디지털 텔레비전을 구입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상파 방송 채널에서 디지털로 제작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2012년에 개최된 런던 올림픽에서는 영국 전역에서 벌어지는 경기들이 디지털로 생중계되었다.1960년대에는 타임베이스 회로에 반도체 기술이 도입되었다. 1960년대 후반 영국에서는 동기(스캔 라인 속도) 전력 생성이 반도체 수신기 설계에 도입되었다.[12]
영국에서는 간단한(50 Hz) 유형의 전력 회로 사용이 싸이리스터 기반 스위칭 회로가 도입되면서 단종되었다. 설계 변경의 이유는 EMI로 인한 전력 공급 오염 문제와 주전원 파형의 양의 반주기만에서 에너지를 취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공급 부하 문제 때문이었다.[13]
4. 3. 아시아
일본은 2003년 12월부터 HD급 고화질 프로그램을 디지털로 제작하여 방송하였고, 2011년 7월 24일에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였다.[28]대한민국은 2006년 7월부터 HD급 디지털 TV방송 전국화를 완료하였고, 2012년 12월 31일에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을 종료하였다.
4. 3. 1. 대한민국
2006년 7월,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의 HD급 디지털 TV방송 전국화가 이루어졌다.[28] 2008년 2월에는 디지털방송 콜센터와 디지털방송 시청자 지원센터가 개소했다. 2010년 1월 1일부로 LG전자와 삼성전자 등 국내 가전사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수상기 생산이 종료되었으며, 텔레비전의 아날로그 신호 전송은 디지털 텔레비전 보급률이 95%에 이를 경우 디지털 전환을 완료한다는 목표였다. 지역별로 디지털 전환을 실시하여 수도권 지역을 마지막으로 2012년 12월 31일 오전 4시에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됐다.4. 3. 2. 일본
2003년 12월부터 HD급 고화질 프로그램을 디지털로 제작하여 방송하고 있다. NHK와 민방 채널에서는 아날로그 방송 종료일까지 시청자가 아날로그 방송 종료일이 임박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방송 화면과 함께 ‘아날로그(アナログ)’라는 자막을 표시하였다.[28] 2006년 말까지 전국적으로 HD급 고화질 방송을 디지털 방식으로 완성하였고, 2011년 7월 24일에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다.2011년 7월 24일에는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 3현을 제외한 44개 도도부현에서[26], 2012년 3월 31일에는 동일본 대지진 피해 지역인 나머지 3현(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에서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어 디지털 방송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27]
4. 4.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는 2010년부터 아날로그 방송 종료를 시작하여 2013년 12월 3일에 완전히 종료하였다.[1]참조
[1]
웹사이트
Television Technical Performance Code
http://stakeholders.[...]
Ofcom – office of Communications
2006-12
[2]
웹사이트
Final acts of the European Broadcasting Conference in the VHF and UHF bands. Stockholm, 1961.
http://www.itu.int/d[...]
1961
[3]
웹사이트
TV Technology PAL
https://web.archive.[...]
Thinkbox
2010-11-24
[4]
웹사이트
Color Television History
https://archive.toda[...]
About.com
2010-11-24
[5]
웹사이트
Color subcarrier frequency and TV Standards/TV Systems
http://www.paradiso-[...]
Paradiso Design
2005-12-15
[6]
웹사이트
Pal systems – Television measurements
https://web.archive.[...]
Tektronics Incorporated
1999-09
[7]
웹사이트
Basics of Analog Video
https://www.maximint[...]
Maxim
2021-05-21
[8]
서적
Television Engineering and Video Systems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9]
웹사이트
World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and Waveforms
http://www.pembers.f[...]
2010-09-25
[10]
서적
Principles of Television Reception
https://books.google[...]
Pitman Publishing
[11]
웹사이트
A five function IC for television receivers
https://www.research[...]
IEEE
2019-05-11
[12]
웹사이트
TACKLING THE POWER SUPPLY
http://www.oldtellys[...]
Old Tellys.co.uk
2010-11-24
[13]
웹사이트
An Investigation into the EMC Emissions From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and Similar Switched Electronic Load Controllers Operating at Various Loading Conditions
http://www.yorkemc.c[...]
York EMC.co.uk
2010-11-24
[14]
웹사이트
Technical note 77 – Diode Split for E.H.T. generation
https://web.archive.[...]
Mullard
1976
[15]
웹사이트
How Television went Digital in The Netherlands
https://web.archive.[...]
2013-02-04
[16]
웹사이트
Senate OKs delay of digital television transition
http://news.cnet.com[...]
CNET News
2009-01-26
[17]
웹사이트
Analog broadcast ended in Iwate, Miyagi and Fukushima on 31 March 2012 (year Heisei 24)
https://web.archiv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2012-03-31
[18]
웹사이트
The digital television (DTV) change in Canada happens August 31, 2011
https://web.archive.[...]
2009-05-05
[19]
웹사이트
广电总局发文关停地面模拟信号 "模拟电视"时代即将结束
Sina Corp
2020-07-15
[20]
웹사이트
Turning analog signal off, new step in transition to digital
https://agenciadenot[...]
2017-10-24
[21]
뉴스
Malaysia to turn off analogue TV completely on 31 Oct
https://www.soyacinc[...]
2019-09-25
[22]
웹사이트
Singapore pulls the plug on analogue TV transmission
https://www.rapidtvn[...]
[23]
웹사이트
Gov't wants analog TV switched off by 2023
https://www.gmanetwo[...]
2017-02-14
[24]
웹사이트
When analog TV channels will be turned off
https://web.archive.[...]
2019-10-14
[25]
뉴스
Compensation for digital TV. How to get 2000 rubles for buying a digital TV receiver
https://aif.ru/techn[...]
Argumenty i Fakty
2019-02-17
[26]
웹사이트
テレビアナログ放送終了 全国44都道府県でデジタルに移行
https://www.nhk.or.j[...]
2023-11-20
[27]
웹사이트
東北3県、31日に地デジ移行 全国でアナログ放送終了
https://www.nikkei.c[...]
2012-03-30
[28]
뉴스
「アナログ放送終わります」テレビ画面に常時字幕へ
https://web.archive.[...]
아사히신문
2008-04-17
[29]
서적
Television Engineering and Video Systems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30]
웹인용
World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and Waveforms
http://www.pembers.f[...]
2008-11-30
[31]
서적
Principles of Television Reception
https://books.google[...]
Pitman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